Share

중고 맥북 프로 2015 리뷰: flutter 빌드 머신 만들기

  • 2020년 08월 19일

최근 flutter를 통해 개발한 안드로이드 앱을 앱스토어에 출시하기로 결정했다. 앱스토어용으로 앱을 빌드하려면 원도우 컴퓨터가 아닌 맥 컴퓨터가 반드시 필요하다. 하지만 애플의 사악한 가격 정책 때문에 새로운 제품을 구입하기 부담스러웠다. 그래서 셀잇 같은 중고 거래 사이트를 뒤져보니 맥북 프로 2015 버전이 하자가 있는 제품은 50만원 이하에도 거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과연 2020년 8월 시점에 맥북프로 2015에 flutter 앱 개발 환경을 쾌적하게 만들어 낼 수 있을 것인가?!

맥북 프로 2015 버전의 경우 램이 8GB에 i5-5257u 정도의 5세대 인텔 CPU를 쓰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원도우가 설치된 i5-5257u에서는 사용이 무리가 있겠지만 mac OS는 원도우에 비해 최적화가 잘되어 있다. 또한 WWDC 2020에서 mac OS Big Sur가 맥북 프로 2013까지 지원하는 것을 보면 향후 새로운 OS가 나오더라다 2~3년 정도는 지원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 예상되므로 기본적인 개발 머신으로서 조건은 충족된다. (Big Sur는 WWDC 2020에서 새롭게 공개한 macOS이다. 명칭은 미국 캘리포니아주 센트럴 코스트 지역에 위치한 산맥에서 따왔다)

다음은 Big Sur에서 지원하는 맥 하드웨어의 사양들이다. 최소 하드웨어 조건이 2013년 모델들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당신의 Mac에서 MacOS Big Sur을 실행할 수 있는지 확인하세요.
Mac 하드웨어 요구 사양MacBook (2015년 이후 모델)
MacBook Air (2013년 이후 모델)
MacBook Pro (Late 2013 이후 모델)
Mac mini (2014년 이후 모델)
iMac (2014년 이후 모델)
iMac Pro (모든 모델)
Mac Pro (2013년 이후 모델)

이글에서 개발 환경을 테스트해볼 제품은 셀잇에서 판매중인 디스플레이에 빛샘 현상과 코딩 벗겨짐 그리고 다수에 찍힘이 있고 배터리 사이클 613인 35만원짜리 맥북 프로이다.

이정도 사양에서 큰 하자가 없는 제품은 70만원 정도한다. 나의 경우 집에 놓고 빌드용으로만 쓸 예정이고 워낙 막눈이라 텍스트만 출력되면 신경안쓰는 성격이라 디스플레이 하자는 큰 문제가 아니다. 제품 구입 후 일주일 가량 테스트를 해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디스크

구인한 제품이 SSD가 128GB인것이 마음에 걸리지만 정식 애플 제품으로 업그레이드를 하려면 비용이 많이 추가되고 비정식 SSD의 경우 호환성 때문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다음은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와 flutter sdk, XCode등을 설치한 후의 디스크 용량이다. 70GB 정도의 용량이 남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빌드를 위한 디스크 용량으로는 충분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PU/RAM

최신 CPU에서 보여주는 빠릿한 정도의 느낌은 아니지만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와 XCode를 이용하여 프로그래밍을 하는데 큰 불편함이 없을 정도의 반응성을 보여준다. 단 평소 사용시에는 문제가 없지만 앱 배포를 위해 최종 빌드할때는 CPU의 절대적인 성능 한계로인해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백그라운드에서 프로그램을 설치한다던지 해서 CPU와 I/O 작업을 하면 시스템 속도가 전반적으로 느려져서 반응성이 많이 떨어진다. 여러가지 작업을 동시에 하는 것은 무리라는 판단이다.

CPU 성능의 한계 때문에 다음과 같이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도중에 CPU로드가 80%에 육박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다음은 아이폰 시뮬레이터가 실행중일때의 시스템 사용량이다. 아이폰 시뮬레이터는 원도우에서 안드로이드 에뮬레이터에 비해서 정말 가볍다.(최신 원도우 노트북에서도 안드로이드 에뮬레이터는 사용하기 부담스럽다). 아이폰 시뮬레이터를 실행시켜놓고도 충분히 개발이 가능하다.

다음은 안드로이드스튜디오, XCode, 아이폰 시뮬레이터를 동시에 실행해 놓은 상태에서의 메모리 사용량이다. 다소 스왑 공간이 잡혀있기는 하지만 메모리 압력에 경고 상황은 발생하지 않는다. mac OS에는 메모리 압력이라는 수치를 이용하여 메모리가 부족한지 아닌지를 판단할 수 있는데 녹색을 유지하면 메모리 부족으로 크게 성능 저하가 없는 상태로 봐도 된다고 한다.


배터리

배터리 사이클이 612로 애플 홈페이지를 보면 1000이 되면 수명이 다 되는 것으로 안내하고 있다. WIFI를 계속 이용하면서 CPU로드를 80%이상 계속 걸어주는 작업을 하면 3시간 가량 사용이 가능했다. 하지만 웹브라우징과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와 아이폰 에뮬레이터를 이용하는 등의 일반적인 작업에서는 5시간 가까이 버텨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중고 제품이라 배터리 성능은 기대하지 않았지만 이정도 시간이면 외부에서도 충분히 사용 가능할 것 같다.


결론

mac OS가 원도우에 가볍다고는 하지만 맥북 프로 2015 버전의 CPU가 워낙 구형이라 헛돈 쓰는것이 아닌가 걱정이 들었다. 하지만 최신 하드웨어의 빠릿한 느낌은 아니지만 현 시점에서 쓸만한 수준의 반응성이 꾸준히 유지된다. 일주일 정도 집과 외부에서 프로그램 개발용으로 테스트해본 결과 빌드 머신용도를 넘어서 중간 규모의 앱 프로젝트 정도는 충분히 사용이 가능한 성능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멀티스레드 성능이 부족하므로 쓰지 않는 프로그램은 바로바로 종료 시켜가며 사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원래는 집에서 iOS 앱의 빌드 머신으로만 쓰려고 했는데 성능도 괜찮고 배터리도 생각외로 오래가기 때문에 외부에서 작업 용도로로 종종 사용하게 될 것 같다.

0
Would love your thoughts, please comment.x
()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