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에는 걸음 수와 수면 시간 같은 활동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여러 종류의 스마트 밴드와 스마트 워치가 있다. 활동 데이터를 제대로 수집하려면 24시간 동안 몸에 부착이 필요하므로 휴대가 편하고 한번 충전으로 오랜 시간 사용이 가능해야 한다. 또한 자동화된 데이터 분석을 위해서는 데이터를 일정 주기로 자동으로 익스포트할 수 있어야 한다.
삼성 헬스는 구글 피트니스 연동을 제공하지는 않지만 헬스싱크(Health Sync)라는 유료앱을 이용하면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구글 피트니스로 가져올 수 있다. 이 글은 삼성의 스마트 밴드와 연결한 후 삼성 헬스를 통해 구글 피트니스 데이터를 동기화 하는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샤오미 미핏은 자체적으로 구글 피트니스의 데이터 동기화를 제공하지만 여러가지 데이터 누락 문제가 있기 때문에 추가 요금이 들더라도 헬스싱크(Health Sync)와 삼성 헬스를 사용하여 구글 피트니스와 연동하여 사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갤럭시 웨어러블(galaxy wearable) 앱 설치하기
삼성이 제작한 스마트밴드나 스마트워치를 스마트폰과 연결하려면 갤럭시웨어러블 앱을 먼저 설치해야 한다. 플레이 스토어에서 “galaxy wearable”를 검색한후 설치한다.

이제 galaxy wearable을 실행후 좌측 메뉴의 새 디바이스 추가를 클릭한후 내가 가진 디바이스를 선택한다.


디바이스를 선택하면 연결할 디바이스 목록이 나타난다. 원하는 기기를 선택한다. 기기가 연결되면 좌측 메뉴에 연결됨이라는 표시가 출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제 삼성 헬스에서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조회할 수 있는 준비가 끝났다.
삼성 헬스 앱 설치하기
삼성헬스는 삼성에서 판매중인 스마트밴드인 갤럭시 핏과 스마트워치인 갤럭시 기어 시리즈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활동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보여주는 헬스케어 앱이다. 먼저 플레이 스토어에서 “삼성 헬스”를 검색한후 설치한다.

삼성 헬스를 실행한 후 화면 중앙에 걸음 수 숫자를 클릭하면 다음과 같은 걸음 수 정보를 볼 수 있다. 걸음 수 그래프 하단을 살펴보면 어떤 디바이스를 통해 데이터를 보여주는지 알 수 있다. 이곳을 클릭하여 내가 원하는 디바이스의 정보를 보여줄 수 있다. 이 메뉴에 내가 추가한 디바이스가 보이면 이제 데이터를 구글 피트니스와 동기화할 준비가 끝난 것이다.


헬스 싱크(Helath Sync) 앱 설치하기
헬스 싱크는 삼성에서 제공하는 API를 이용하여 삼성 헬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가져와 구글 피트니스로 동기화 시켜주는 앱이다. 최초 설치시에는 1주일간 무료 기간이 있으므로 사용후 구입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다음과 같이 플레이 스토어에서 “삼성 헬스”를 검색한후 설치한다.

데이터 소스가 무엇인지 선택하라는 메뉴가 등장한다. 삼성 헬스를 선택한다.

그리고 동기화 방향을 선택하라는 메뉴가 등장하면 첫번째 메뉴인 Samsung Heath -> Google Fit 메뉴를 선택한다.

CHECK GOOGLE FIT CONNECTION을 선택해서 데이터를 동기화할 구글 계정을 선택한다.


우측 메뉴의 Trial period 메뉴를 선택하여 유료 버전을 구입할 수 있다. 8일간 뮤료이므로 테스트후 구입 여부를 판단한다. 3,500원을 내고영구적으로 사용하거나 6개월 마다 1천원을 결제하는 구독 방식으로 구매할 수 있다.


우측메뉴에서 Settings를 선택하여 데이터 동기화 간격을 설정할 수 있다. 최초에는 15분 간격으로 설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메인화면에는 어떤 항목의 데이터를 구글 피트니스로 동기화할지 선택할 수 있다. 모든 체크박스를 체크하도록 한다. 하단의 동기화 버튼을 통해 오늘의 데이터를 수동으로 동기화 시도할 수도 있다.

이제 구글피트니스와의 데이터 연동이 정상적으로 이루어 졌는지 확인해야 한다. 삼성 헬스에 걸음 데이터가 들어온 것을 확인후에 헬스 싱크로 수동 동기화 버튼을 눌러서 데이터를 동기화 해준다.
구리고 플레이 스토어에서 “구글 피트니스”를 검색한후 설치한다.

메인화면에서 프로필 메뉴를 탭한 후 오른쪽 화면에 나오는 설정 버튼을 탭한다. 그리고 “연결된 앱 관리” 메뉴를 탭하면 구글 피트니스 데이터에 접근 권한을 가진 앱들의 리스트가 나온다.



리스트 중에 다음과 같이 헬스싱크가 추가되어 있어야 한다.

그리고 얼마간의 시간이 지나면 다음과 같이 헬스싱크 아이콘이 뜬 활동 데이터가 들어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백그라운드 실행 유지 설정 하기
안드로이드폰 제조사들은 배터리와 성능 최적화를 위해 앱을 백그라운드에서 실행하는 방식을 관리하고 있다. 이런 최적화 기능에 의해 앱이 종료되면 데이터 동기화가 실패할 수 있다. 따라서 위에 설치한 삼성 헬스, galaxy wearable, 헬스 싱크(Health Sync) 모두 백그라운드 실행 권한을 주도록 한다.
삼성 단말기인 경우 배터리 사용 최적화 해제, LG 단말기의 경우 절전 기능 예외 앱처럼 배터리 최적화 대상에서 앱을 제외시켜주면 된다.
[…] + 여기서 자세히 보기 […]